웃음 끝에 남는 울림, 침묵을 깨는 용기의 말
<아이 캔 스피크>(감독: 김현석, 2017)는 위안부 피해자라는 무거운 주제를 일상적인 코미디와 따뜻한 감동 속에 풀어낸 작품이다. 영화는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할머니 ‘옥분’과, 원칙주의 공무원 ‘민재’의 만남을 중심으로 시작되지만, 점차 **말하지 못했던 진실을 세상에 전하기 위한 여정**으로 확장된다. 단순한 감정 호소가 아닌 유쾌한 일상 속 웃음, 그리고 그 이면에 숨겨진 상처를 함께 보여줌으로써 관객의 마음을 부드럽게 열고, 끝내 울리는 힘을 가졌다. 서론에서는 <아이 캔 스피크>가 어떻게 감정 과잉 없이도, **진정성과 용기, 그리고 말한다는 것의 의미**를 관객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말할 수 있다”는 건, 단지 언어를 넘는 일이 아니라, 세상에 나를 증명하고 인간으로서 존엄을 회복하는 과정임을 보여준 영화다.
줄거리와 흥행 포인트 – 말 못할 사연, 영어로 외치기까지
구청 민원실에는 ‘옥분 할머니’(나문희 분)가 매일같이 민원을 들고 찾아온다. 민재(이제훈 분)는 원리원칙을 따지는 신입 공무원으로, 처음에는 그녀를 귀찮은 존재로 여긴다. 그러나 옥분이 뜻밖에도 영어를 배우고 싶다고 요청하면서 둘은 영어 과외를 시작하게 된다. 민재는 마지못해 수업을 시작하지만, 점차 옥분의 진심을 알아가며 교감하게 된다. 이후 옥분이 위안부 피해자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그녀가 영어를 배우려 했던 진짜 이유—**미국 의회 청문회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증언하고자 했던 것**—이 드러난다. 흥행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나문희의 인생 연기**: 유쾌하고 따뜻한 할머니에서, 과거의 아픔을 꿋꿋이 안고 살아온 피해자로의 전환이 자연스럽고 강렬하다. 2. **이제훈의 안정감 있는 연기**: 차가워 보이지만 점차 따뜻해지는 민재의 변화를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3. **잔잔한 코미디와 묵직한 드라마의 균형**: 웃음으로 시작해 울음으로 끝나는 구조가 감정 몰입을 도와준다. 4. **실화를 바탕으로 한 울림**: 실제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영화적으로 각색한 장면들은 관객에게 직접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5. **‘말한다는 것’의 힘**: 영어를 배우는 장면들이 단지 코믹 요소가 아니라, 자기 표현과 인간 존엄의 도구로 재탄생된다.
결론 – “나는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들어야 한다
<아이 캔 스피크>는 영화의 마지막 20분을 위해 90분을 조심스럽게 달려온 영화다. 옥분이 의회에서 증언하는 장면은 영화 전체의 클라이맥스이자, 실제 역사를 기억해야 하는 우리 모두에게 던지는 메시지다. 그녀의 목소리는 크지 않았고, 영어도 완벽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 한 마디 한 마디는 전 세계의 어떤 웅변보다 더 강했다. “I'm not a statue. I am a human being.” 그 대사는 단순한 대사가 아니라, **존엄을 되찾은 인간의 선언**이다. 이 영화는 말한다. 말하지 않으면 사라진다고. 기억되지 않으면 잊힌다고. 그리고 우리는 깨닫게 된다. **듣는다는 것 또한 하나의 책임**임을. 웃으며 시작해, 눈물로 끝나는 이 영화는 결국 관객 모두에게 질문한다. “당신은 누군가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준 적이 있는가?”
특별 관점 리뷰 – 영어가 아닌, 말하는 ‘태도’가 전한 진심
영화 속 영어는 단지 언어 습득이 아니다. 그것은 ‘증언하기 위한 도구’이며, ‘존재를 증명하는 수단’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영어 실력이 아니라, **어떤 태도로 말하느냐**였다. 옥분은 정확한 문법보다도, 떨리는 음성과 눈빛, 그리고 말끝에 묻어난 진심으로 모두를 설득했다. 이는 언어가 전달력이 아닌 진정성을 바탕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영어라는 언어적 장벽을 넘어서기 위한 그녀의 노력은, **세상이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의 말하기 연습이자, 세상을 향한 가장 단단한 저항**이었다. 결국 관객이 감동한 건 영어가 아니라, 그 영어에 담긴 **‘사람의 이야기’**였다. 그리고 우리는 잊지 않게 된다. 말하는 용기도, 듣는 용기도 서로가 만들어내는 기적이라는 것을.